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'배달 천국'이라 불리는 중국은 앱 하나면 모든 생활이 가능할 정돕니다. <br> <br>이런 편리함 이면엔 저임금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배달 기사들이 있는데요. <br> <br>흉기 피습부터 과로사까지 배달기사 수난시대를 세계를 가다, 이윤상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 <br> <br>[기자]<br>아침 일찍 배달 업체 유니폼을 챙겨입고 집을 나서는 29살 중모 씨. <br> <br>5년차 배달기사인 중 씨는 배달 접수부터 확인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새로운 주문이 접수됐습니다. 빨리 확인하세요." <br> <br>빠르게 달려 상품을 받은 뒤고객에게 전달하면 받는 돈은 우리 돈 약 1100원. <br> <br>[중모 씨 / 배달기사] <br>"안녕하세요. 배달 왔습니다. 맛있게 드세요." <br> <br>하루 13시간 동안 100건 정도 배달해 쥐는 돈 11만 원은 고향의 가족에게 보냅니다. <br> <br>[중모 씨 / 배달기사] <br>(어떤 이유로 배달 일을 시작하게 됐나요?) "다니던 회사가 부도 났어요." <br> <br>최근엔 수입이 예전 보다 못 합니다. <br><br>[중모 씨 / 배달기사] <br>"배달 기사가 점점 늘어요. 파이는 작은데 먹으려는 사람이 많아지는 거죠." <br> <br>중 씨처럼 중국 최대 배달 업체 한 곳에 등록된 배달 기사 수는 코로나19 기간 745만 명까지 폭증했습니다.<br> <br>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14억 인구 중 1200만 명이 배달 기사인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운전면허증만 있으면 뛰어들 수 있는 배달기사는 취업난과 실직에 처한 사람들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집니다.<br><br>하지만 열악한 노동 환경으로 인해 위험에 수시로 노출되고 있습니다.<br> <br>배달이 늦으면 벌금을 내기 때문에 신호위반과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일상이 됐습니다. <br> <br>배달업체의 직접 고용이 아니기 때문에 치료비와 보험료는 고스란히 배달기사의 부담입니다. <br> <br>취업난에 배달기사 일을 시작한 30대 청년이 아파트 단지 내 오토바이 출입 문제로 경비원과 다투다 경비원의 흉기에 숨진 바 있습니다. <br> <br>또 경비원 앞에서 배달 기사가 무릎꿇은 사진이 공개돼 집단 시위로 번지기도 했습니다.<br><br>[현장음] <br>사과하라, 사과하라, 사과하라! <br> <br>최근엔 하루 16시간씩 배달을 하던 남성이 과로사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[중국 배달 기사] <br>"정말 안타깝죠, 배달 기사가 정말 사회 하층민이라서 (생긴 일이죠)." <br> <br>[량훙다 / 문화 평론가] <br>"우리는 배달기사가 불공평한 대우를 받으면서 가져다준 복지를 누리는 거에요." <br> <br>중국 내에선 배달 기사들을 '마구간의 당나귀'에 비교하며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